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베이비붐 세대와 노령층을 위한 일자리 및 사회 참여 지원사업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 노년층의 경제적 자립과 활발한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부 정책은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4년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및 사회참여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특히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하며, 다양한 사회활동 및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1.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
프로그램 지원대상
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연령에 따라 구분되며, 주요 대상은 60세 이상 노인입니다. 다음 표는 이 사업의 지원대상을 요약한 내용입니다.
구 분 | 지원대상 | |
사회활동 |
사회활동 |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|
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(시범사업) | 60세 이상 | |
노인 일자리 |
사회서비스형 | 65세 이상(일부 유형 60세 이상) |
시장형 사업단 | 60세 이상 | |
취업알선형 | 60세 이상 | |
시니어 인턴쉽 | ||
고령자친화기업 |
프로그램 세부 지원 내용
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며, 특히 공익 활동과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통해 사회적 참여를 촉진합니다.
- 공익활동
- 월 30시간 이상 활동에 참여하며 29만 원의 활동수당을 받습니다.
- 주요 활동으로는 노노케어, 취약계층 지원, 공공시설 봉사 등이 포함됩니다.
- 사회서비스형
- 외부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.
- 취약계층 시설에서의 활동보조, 예를 들어 지역아동센터,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식사 보조나 환경 정리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.
- 월 60시간 근무 시 최대 63만 4,000원의 급여가 지급됩니다(주휴수당 및 연차수당 별도).
- 시장형 사업단
-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에서 운영하는 매장 및 사업단에서 활동합니다.
- 식품 제조·판매, 매장 운영, 택배 등의 다양한 활동 기회가 제공됩니다.
- 취업알선형
- 경비, 청소, 가사 및 간병인 등 관련 직종 업무 능력 보유자를 해당 수요처에 연계합니다.
- 시니어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기업 취업을 지원하며, 기업인턴(3개월) 후 계속 고용을 유도합니다. 기업에 는 인건비 지원이 제공됩니다.
- 인증형, 창업형의 노인다수 고용기업 또는 우수 노인고용기업을 지원합니다.
프로그램 신청 방법 및 문의처
노인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한다면,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또는 노인일자리 수행기관(시니어클럽, 노인복지관 등)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노인일자리 상담 안내는 ☎1544-3388을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.
※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활동비는 기초연금대상자 선정 시 근로 소득에서 제외합니다.
2. 사회참여 및 문화 활동 프로그램
노인복지관 및 경로당 이용
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은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·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노인들이 지역 사회에서 활발히 사회참여를 할 수 있으며,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.
디지털배움터
디지털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한 시대에, 모든 연령층이 디지털 기초 및 생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무료로 ICT 활용 교육을 제공합니다. 디지털배움터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모바일 사용, 키오스크 활용 등 실생활에 유용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디지털배움터에 참여하려면 디지털배움터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☎1800-0096으로 전화 신청할 수 있습니다.
3. 취약지역 어르신을 위한 문화누림
취약 지역의 어르신들을 위한 맞춤형 문화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연령대별로 세분화되어 있으며, 특히 소멸위험지역과 문화환경이 취약한 지역의 노인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
- '초기 노년층(60~74세)' 및 '후기 노년층(75세 이상)'을 대상으로 하며, 무료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- 전국단위 실버문화페스티벌이 개최되며, 해당 프로그램은 매년 변화할 수 있으므로 한국문화원연합회를 통해 사전 문의가 필요합니다.
- 취약지역: 소멸위험지역(118개) 및 문화환경 취약지역(69개))
취약지역 프로그램 이용 방법
취약지역 내 문화원, 문화의 집 등 가까운 문화시설을 방문하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사업팀(☎02-704-4332, 2321)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.
노인 일자리 및 사회참여 지원사업은 고령층에게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,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에게 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입니다. 이와 같은 복지정책은 노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, 지역사회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노인 일자리와 다양한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노인들이 활발히 활동하고,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.
◈ 다른 복지 지원 사업도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조하세요.
[ 노인 복지정책 ] 1. 노령층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사업
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가속화되면서, 정부는 노령층을 위한 다양한 복지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은 많은 어르신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
mynews3296.tistory.com
[ 노인 복지정책 ] 3. 노령층의 치매와 기타 검진 및 치료비 지원사업
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치매와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. 정부에서는 60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건강검진 및 치료비 지원 사업을 통해 이
mynews3296.tistory.com
[ 노인 복지정책 ] 4. 노령층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및 요금 감면 혜택 지원사업
고령화 사회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노인 인구의 생활과 건강을 지원하는 복지정책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 특히 노인 돌봄서비스와 다양한 요금 감면 혜택은 고령층
mynews3296.tistory.com
'꿀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노인 복지정책 ] 4. 노령층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및 요금 감면 혜택 지원사업 (6) | 2024.10.18 |
---|---|
[ 노인 복지정책 ] 3. 노령층의 치매와 기타 검진 및 치료비 지원사업 (3) | 2024.10.17 |
[ 노인 복지정책 ] 1. 노령층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사업 (7) | 2024.10.15 |
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정부24앱 등록 및 진위 확인작업 (6) | 2024.10.12 |
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발급 및 신청 방법 (0) | 2024.10.12 |